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Tags 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so..you!

2024년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통합 공고 본문

정책자금/정부지원금

2024년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통합 공고

소유현종 2023. 12. 19. 09:16

안녕하세요! 소유현종입니다.

이번에는 제조혁신을 통한 중소·중견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2024년 스마트제조혁신

지원사업 통합 공고를 포스팅하겠습니다


사업개요

사업목적

○ 중소·중견기업의 제조혁신을 촉진하기 위하여 스마트공장, 로봇 및 공정자동화,

스마트공장 수준확인, 데이터인프라 구축 등을 지원

<2024년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현황>


사업별 지원계획

①-1 정부일반형 스마트공장

▣ 사업개요

○ (사업목적) 기업 현실에 적합한 스마트공장 도입 및 고도화 지원

○ (지원대상) 국내 중소․중견 제조기업

▣ 지원내용 및 지원조건

○ 지원내용

- (SW) 제품설계‧생산공정 개선 등을 위해 IoT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

- (HW) 스마트공장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‧제어기‧센서 등

○ 지원과제 : 335개

○ 지원조건

①-2 정부일반형 스마트공장(지역특화프로젝트, 레전드 50+)

▣ 사업개요

○ (사업목적) 지역특화 프로젝트 연계를 통한 별도 지원트랙 추진을 통해 지역 주도

역량 강화 및 지역 제조기업 신속 지원 추진

○ (지원대상) 스마트공장 고도화가 필요한 중소제조기업 중 지역특화 프로젝트에 선정된 기업

▣ 지원내용 및 지원조건 : 정부일반형 스마트공장과 동일

○ 지원내용

- (SW) 제품설계‧생산공정 개선 등을 위해 IoT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

- (HW) 스마트공장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‧제어기‧센서 등

○ 지원과제 : 165개

○ 지원조건

② 자율형공장

▣ 사업개요

○ (사업목적) AI·디지털트윈 기반 실시간 관제, 분석·예측 등 작업자 개입을 최소화하는

자율형공장 구축 지원

○ (지원대상) 국내 중소·중견 제조기업 중 '중간1' 이상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 또는 '중간1'이상

수준확인기업

▣ 지원내용 및 지원조건

○ 지원내용

- (진단·기획) 기업별 공정분석, 실행전략 등 자율형공장 구축기획 등

- (구축) AI·디지털트윈을 적용, 가상환경 기반의 자율형공장 구축 등

○ 지원과제 : 20개

○ 지원조건 : 총 사업비의 50%, 연 3억원, 최대 2년

 

③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

▣ 사업개요

○ (사업목적) 민간이 협업하면 정부가 함께하는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여 대‧중소기업 동반성장 촉진

○ (지원대상) 국내 중소․중견 제조기업 

▣ 주관기관 및 협업기관

○ (주관기관) 중소․중견기업과 협력하여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이 가능한 대기업·중견기업·공공기관·민간기관 (협업기관과 컨소시엄 가능)

* 주관기관의 현물출자 인정(주관기관 출연금의 20% 이내)

○ (협업기관) 정부지원금 위탁운영에 결격사유가 없고 스마트공장 보급·확산 역량을 소유한 공공·민간기관

▣ 지원내용 및 지원조건

○ 지원내용

- 주관기관이 중소․중견기업과 협력하여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경우,

정부가 구축 비용의 30% 이내 지원

- 주관기관이 협업기관과 컨소시엄을 이루어 참여하며, 협업기관에 한해 중소․중견기업 모집·선정 등에 필요한 운영비 지원

* 매칭된 정부지원금의 5% 이내 협업기관 운영비로 책정 가능

○ 지원과제 : 200개

○ 지원조건

 

④ 부처협업형 스마트공장

▣ 사업개요

○ (사업목적) 관계부처와 협업을 통해 국가 전략산업 육성, 산업안전 등 현안해결과 연계하여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

○ (지원대상) 국가 전략산업 육성 또는 산업안전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분야의 중소·중견 제조기업

▣ 지원내용 및 지원조건

○ 지원내용 

- (중기부)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 

- (해당부처) R&Dㆍ인증·판로·컨설팅 등 기업지원서비스를 추가 지원 

○ 지원과제 : 35개 

○ 지원조건

 

⑤ 탄소중립형 스마트공장

▣ 사업개요

○ (사업목적) 에너지 효율 향상과 탄소중립 대응력 강화를 위해 탄소

저감에 효과적인 특화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

○ (지원대상) 국내 중소·중견 기업*

* 뿌리기술(14개 업종), 고탄소 배출업종

▣ 지원내용 및 지원조건

○ 지원내용

- 에너지 진단·설계 컨설팅, ICT 기반 탄소저감 공정혁신(FEMS 솔루션), 고효율 설비 등을 패키지 지원

○ 지원과제 : 15개 내외

○ 지원조건

 

⑥ 디지털협업공장

▣ 사업개요

○ (사업목적) 대표기업 중심으로 공동의 목적 달성을 위해, 공장‧기업 등 다자간 데이터 기반 상호연결된 컨소시엄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

○ (지원대상) 중소‧중견 제조기업(5개 이상)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형태

▣ 지원내용 및 지원조건

○ 지원내용

- (공동‧협업 스마트시스템 구축) 제품 개발‧생산, 유통‧물류 관리 등의 컨소시엄간 연계 및 공동 활용이 가능한 스마트시스템 구축 지원 

- (개별 스마트공장 구축) 생산공정 개선, 공동‧협업 시스템 연결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및 솔루션과 연동된 자동화장비·제어기·센서 등 지원 

○ 지원과제 : 6개 컨소시엄(30개 기업)

○ 지원조건

 

⑦ 로봇활용 제조혁신지원

▣ 사업개요

○ (사업목적) 제조기업의 생산성 향상 등 제조경쟁력 강화와 로봇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제조 현장에 로봇 자동화 시스템 도입 지원

○ (지원대상) 도입기업이 공급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

- (도입기업) 로봇 도입이 필요한 국내 중소·중견 제조관련 기업

- (공급기업) 로봇 자동화 시스템 솔루션 보유 기업(로봇 SI기업)

▣ 지원내용 및 지원조건

○ 지원내용 : 로봇 도입, 공정설계 컨설팅, 안전 검사 등 패키지 지원

○ 지원과제 : 100개

○ 지원조건

 

⑧ 제조기반기업 공정자동화 지원

▣ 사업개요

○ (사업목적) 주조, 표면처리, 정밀가공 등 제조기반기업의 생산성 제고를 위해 수작업, 고노동부하공정 등을 대상으로 공정자동화 지원

○ (지원대상) 공정자동화 구축이 필요한 국내 중소 제조기반기업 

* 주조, 금형, 용접 등 제조기반기업으로 업종코드(※개별 사업공고 참고)를 보유한 중소기업 

▣ 지원내용 및 지원조건

○ 지원내용 : 인력 의존도가 높은 공정을 대상으로 공정자동화 구축 지원

* (지원제외) 단순 범용 공정장비‧설비 구입‧교체는 지원대상 제외 

○ 지원과제 : 75개

○ 지원조건

 

⑨ 스마트공장 수준확인

▣ 사업개요

○ 중소·중견 제조기업의 자발적인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를 유도하기 위해 스마트화 수준진단을 지원

▣ 지원내용

① 확인기관 및 교육·심의기관 (‘23.12월 별도 공모 후 모집)

○ 대상기관 

- (확인기관) 수준확인 사업 전반(수요 발굴·홍보, 수준확인 신청·접수, 수준확인 실시, 사후관리 등)을 추진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한 기관

- (교육·심의기관) 수준확인 심사원 교육, 교육 프로그램 개발, 수준확인 심사 결과 심의위원회 운영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한 기관

○ 지원내용 

- (확인기관) 참여기업 모집·선정·관리 등에 필요한 사업비·운영비 지원

- (교육·심의기관) 수준확인 관련 교육 프로그램 및 통합 심의위원회

운영에 필요한 사업비·운영비 지원

② 수준확인 참여기업 (확인기관, 교육·심의기관 선정 후 별도 공지)

○ 지원대상

- 자체역량으로 스마트공장 구축기업(정부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미참여)

- 자발적으로 고도화를 추진하여 스마트화 수준 상승이 기대되는 기업

- 스마트공장 수준확인서의 유효기간 만료기업

○ 지원과제: 1,500개

○ 지원내용 : 수준확인서 및 진단보고서 제공 (수준확인 비용 전액 지원)

 

⑩ 클라우드형 스마트공장 종합솔루션

▣ 사업개요

○ (사업목적) 업종별 스마트화에 요구되는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기능

연계·추가·개선이 가능하도록 클라우드·패키지 형태로 개발을 지원

○ (지원대상) 스마트공장 솔루션 개발 역량을 갖춘 컨소시엄

- 솔루션 시범적용을 위한 제조기업(도입기업), 협력기관 참여 가능

- 3개 이상 공급기업이 컨소시엄에 참여할 경우, 중소공급기업 참여 필수

▣ 지원내용 및 지원조건

○ 지원내용

- 업종별 대표 공정 또는 주요 생산품 제조현장의 스마트화·디지털화에 적용 가능한 MES(제조관리시스템), ERP(전사적 자원관리), PLM(제품수명주기관리), AI(인공지능 솔루션) 등의 주요 기능·솔루션을 하나의 패키지로 공급 가능한 솔루션 개발 지원

※ Public cloud 환경에서 SaaS(서비스형 소프트웨어)형태로 솔루션 공급이 가능해야 함

○ 지원과제 : 1개 컨소시엄 

○ 지원조건 : 최대 50%지원, 8.3억원 

 

⑪ 공급기업 역량진단 지원사업

▣ 사업개요

○ 공급기업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정보를 제공하여 공급기업의 자발적 역량강화 및 도입기업의 양질의 스마트공장 구축 촉진

▣ 지원규모 : 3억원, 300개사

▣ 지원대상 : 중소․중견기업* 중 스마트공장 공급기업**

▣ 지원내용

(자가 역량진단) 공급기업이 자사의 역량을 스스로 진단하고 수준을 제고할 수 있도록 자가 역량진단 기능 제공

(전문 역량진단) 자사의 역량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을 원하는 기업에는 전문 진단원을 배정하여 기본 진단과 심화 진단 수행

- (기본 역량진단) 개발된 역량진단 모델을 기반으로 전문 진단원이 진단지표에 따라 진단 후 진단결과를 기업에 제공

- (심화 역량진단) 단계별 기본 진단 후 분야별 세부 진단 및 개선방향에 대한 컨설팅을 희망하는 기업에 제공

▣ 지원조건

○ (기본 역량진단) 진단비용 100% 전액 지원(기업당 최대 80만원)

○ (심화 역량진단) 진단비용 80% 지원(기업당 최대 152만원)

 

⑫ 스마트공장 AS지원

▣ 사업개요

○ (사업목적) 스마트공장 도입기업을 대상으로 부품교체, 소프트웨어

업그레이드 등 애로사항 해결을 통해 스마트공장 활용도 제고 

○ (지원대상) 스마트공장 보급·확산 사업에 참여하여 사업을 완료한

중소기업(수준확인 기업 포함) 및 '23년 이후 지자체 지원을 통해 구축한 스마트공장

▣ 지원내용 및 지원조건

○ 지원내용 

- 스마트공장 운영과 관련된 H/W(부품 등) 및 S/W(솔루션 등)의 고장·결함에 대한 신속한 AS 지원 

- 스마트공장 도입 후 발생되는 생산품목 변경, 공정개선, 생산효율성 개선, 보안강화 등에 필요한 H/W 및 S/W 업그레이드 지원 

- 역량강화 교육, 도입장비 및 솔루션에 대한 사용법 전수, 활용 관리, 지속적 H/W, S/W 개선 등의 AS를 주기적·장기간(6개월 이내) 지원 

○ 지원과제 : 350개

○ 지원조건

 

⑬ 제조데이터 상품 가공지원 가공기업 Pool 모집

사업개요

○ 제조데이터 가공 능력(인력, 기술 등)을 보유한 가공기업 pool을 확보하고, 제조기업 등에 제공하여 제조데이터 상품가공 지원 시 활용

-'제조데이터 상품 가공지원사업'과제 선정 시, 데이터 보유기업에 매칭되어 데이터 가공, 활용 등의 업무 수행  

지원대상

○ 제조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는 기술, 인력 등 데이터 가공 서비스 지원체계를 보유한 기업 또는 기관

수행업무

○ 중소 제조기업 내 축적된 제조데이터를 활용하여 AI·빅데이터 분석용 제조데이터 가공 및 품질검증 등 상품화 지원 

- (제조데이터 가공 및 상품 제작) 제조데이터의 전처리, AI 학습모델 구축 등 제조데이터 상품 제작을 위한 가공 수행  

- (상품등록 지원) 가공지원을 통해 산출된 제조데이터 상품은 제조데이터 거래소에 필수적으로 등록(최소 1년 이상)  

- (제조데이터 활용지원) 보유 제조데이터를 활용한 상품화 전략 등 제조기업의 신규 비즈니스 모델 및 데이터 활용 개선방안 제언

 

⑭ 제조데이터 상품 가공지원

사업개요

◦ 제조데이터 상품화를 통해 중소 제조기업 현장에서 수집·저장된 제조데이터의 품질 향상 및 부가가치 증대 도모

지원규모 : 12.5억원 (25개 기업 내외)

지원대상 : 제조데이터를 수집 중인 국내 중소·중견 제조기업

지원내용

○ 중소 제조기업 내 축적된 제조데이터를 활용하여 AI·빅데이터 분석용 제조데이터 가공 및 품질검증 등을 통한 제조데이터 상품화 지원 

- (가공 지원) 제조데이터의 개념화, 분석 및 분류, 전처리 등 빅데이터·AI 기반 제조데이터 가공 서비스 제공 

- (품질 검증지원) 제조데이터의 정확성 및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검사 및 검증 프로세스 지원 

- (상품 등록지원) 산출된 제조데이터 상품의 제조데이터 거래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한 가격산정 및 거래시스템 등록 지원

지원조건 : 최대 4개월, 0.5억원(총사업비의 80% 이내) 지원

 

⑮ 제조데이터 상품 구매지원

사업개요

○ 제조데이터 구매 지원을 통해 제조데이터 거래 생태계를 조성하고 제조데이터·AI 활용 활성화 촉진 

지원규모 : 2.5억원(25개사 내외)

지원대상 : 국내 중소·중견기업 및 비영리법인

○ (중소ㆍ중견기업) 제조데이터를 구매하여 제조현장 개선 또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 등을 목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국내 중소·중견기업

○ (비영리기관) 제조데이터를 구매하여 연구 목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국내 공공·연구기관, 대학 연구팀, 협단체 등 비영리 법인

지원내용

○ AI 제조플랫폼(KAMP) 내 제조데이터 거래소에 등록된 제조데이터 상품의 구매비용 지원

- 제조데이터 거래소에 미등록된 상품 구매의 경우, 구매지원사업 과제 선정평가 전까지 제조데이터 거래소에 상품 등록 필요

지원조건 : 최대 1천만원(총사업비의 80% 이내) 지원

출처 : 중소벤처기업부 기업마당

 

2024년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통합 공고

사업별 세부내용 공고는 사업별 추진일정에 따라, 스마트공장사업관리시스템,

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★231213__2024_스마트제조혁신_지원사업_통합공고(홈페이지_게시).pdf
0.54MB
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