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신기술인증#net인증#기업#출연#신기술상용화#기술거래#실증화시험#정량적평가지표#개발완료기술#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#산업통상자원부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공공혁신디바이스#실증지원#디지털혁신#중소기업#벤처기업#실증환경구축#고도화재료비#sw개발비#융합품질인증#sw품질인증#과학기술정보통신부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소부장#핵심전략기술#기술지원#기반구축#연구기반시설구축#반도체#디스플레이#연구시설#장비구축#연구개발비#연구수당#간접비#기술료지원#한국산업기술진흥원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스마트상점#기술보급사업#주문제작기술형#소상공인#스마트기술#조리로봇#스마트팜#기술지원#중소벤처기업부#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여성벤처활성화지원#여성특화#액셀러레이팅#여성기업#예비창업자#스타트업#기술기반#혁신아이템#여성특화#직접투자#사업화자금#액셀러레이팅프로그램#중소벤처기업부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로봇스타트업#로봇기업#초기창업자#비즈니스모델#스타트업#제품검증#시장검증#창업지원비용#교육지원#전시지원#한국로봇산업진흥원#산업통상자원부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#디딤돌#창업기업#창업성장#기술개발#중소기업#혁신성장#기술기반#스타트업#중소기업기본법#연구개발비#중소벤처기업부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ai-반도체#해외실증지원#ai반도체#ai서비스#해외진출#컨소시엄#평가위원회#글로벌레퍼런스#온디바이스ai#nipa#과학기술정보통신부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#글로벌협력형#정부지원#연구개발비#기업부설연구소#중소기업#시장확대형#사전기획#수요연계#자유공모#예비연구#중소벤처기업부
- #경영컨설팅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#수출지향#경쟁형#기업주도형사업#혁신역량#연구개발비#중소기업#기술혁신개발사업#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#중소벤처기업부
- #중소기업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#기업지원#시험평가#소재부품기업#폼팩터별전지#성능평가#안정성평가#성능검증#플랫폼기반구축#시제품제작#모듈팩시험평가#산업통상자원부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모빌리티#부품개발지원#서비스맞춤자동차부품산업#시제품제작#부품공동활용플랫폼활용#전장부품개발#산업재산권출원#산업통상자원부
- #기술개발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중소기업cbam#인프라구축#중소기업#eu#탄소국경조정#탄소감축#cbam#탄소배출량컨설팅#탄소배출량검증#중소벤처기업부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스마트제조혁신기술개발사업#스마트제조혁신#첨단제조#유연생산#현장적용#스마트공장#안전중심#경험제조#환경친화#중소벤처기업부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딥테크챌린지#프로젝트#딥테크#챌린지#dcp#기술수요조사#벤처투자회사#신기술금융사업자#벤처투자조합#신기술투자조합#대학#연구기관#후속투자#중소벤처기업부
- 중소기업
- 기업부설연구소#기업부설연구소설립#연구소설립#연구소#연구소설립#기업부설연소인적요건#기업부설연구소물적요건#인적요건#물적요건#전담부서인적요건#전담부서물적요건#소유에셋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#디딤돌사업#여성참여활성화#글로벌#초격차연계#민관협력#소부장#창업기업#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#중소벤처기업부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기술거래플랫폼#기술사업화#기술개발#시제품제작#성능인증#ntb#상용화개발#제품고도화#반도체#바이오#디스플레이#이차전지#한국산업기술진흥원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성능인증#epc#기술개발제품#구매촉진#조달시장#판로확대#중소기업#공공기관#수의계약#적합성심사#공장심사#성능검사#성능인증서#공공구매종합정보#중소벤처기업부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팁스창업기업#tips#민간투자#예비창업기업#매칭지원#창업활성화#엔젤투자#창업기획자#글로벌진출#창업사업화#해외마케팅##중소벤처기업부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밀착형기술사업화#식품기술거래#기술도입사업화#시제품제작#실증#성능평가#신뢰성평가#시장테스트#기술성능검증#장비시험시설공동활용#기술자문#한국농업기술진흥원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마이데이터#개인정보보호#전송요구권#데이터서비스#고도화서비스#신규서비스#중소기업#예산지원#컨설팅지원#홍보지원#한국인터넷진흥원
- #정부지원
- 중소기업기술혁신센터
- 정부지원사업#rnd#기업인증#중소기업#기술혁신개발사업#구매연계#상생협력#구매동의서#구매계약서#투자동의서#시장확대형#연구개발비#소재부품장비#조달혁신#혁신형도전#중소벤처기업부
- #정부과제
- Today
- Total
so..you!
20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2차 '혁신형 창업과제(R&D+사내벤처) 본문
안녕하세요~소유현종입니다
20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중 혁신형 창업과제(R&D+사내벤처)에 대해서
사업개요, 지원유형 및 분야, 과제평가 및 선정절차, 신청자격, 정부출연금 지원기준 및
기술료 징수기준을 알아보겠습니다.
□ 사업목적 : 사내벤처 프로그램을 통해 분사창업한 기업에게 R&D와 사내벤처 사업화
자금을 동시에 지원하여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
□ 지원규모 : 총 83억원(제2차 : 예산 37억원, 20개 과제 내외로 선정)
< 연간 지원규모 및 일정 >
□ 지원유형 : 품목지정형
□ 지원분야 :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에 기반한 「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분야」
20대 전략분야, 152개 전략품목 내에서 기술개발 과제를 자유공모 방식으로 제안
◇ 4차 사업혁명 분야 20대 전략분야 ① 인공지능, ② 빅데이터, ③ 클라우드, ④ 사물인터넷, ⑤ 5G, ⑥ 3D프린팅, ⑦ 블록체인, ⑧ 지능형반도체, ⑨ 첨단소재, ⑩ 스마트헬스케어, ⑪ AR‧VR, ⑫ 드론, ⑬ 스마트공장, ⑭ 스마트팜, ⑮ 지능형로봇, ⑯ 자율주행차, ⑰ O2O, ⑱ 신재생에너지, ⑲ 스마트시티, ⑳ 핀테크 |
□ 지원방식 : 사내벤처 프로그램을 통해 분사창업한 기업에게
R&D와 사내벤처 사업화 자금을 동시에 지원
※ 현장조사 제외 대상
① 접수 마감일 기준 1년 이내 중소벤처기업부 R&D 旣 지원 기업
② 접수 마감일 기준 1년 이내 중진공·기보의 정책자금·보증 지원 기업
③ 대면평가 시 현장조사 제외 판정 기업
□ 「중소기업기본법」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중소기업 중 과제 접수 마감일 기준
중소벤처기업부 사내벤처육성프로그램 운영기업의 추천을 받은 창업 3년 이내 창업기업
□ 지원대상 : 사내벤처 프로그램을 통한 분사 창업기업* 중 아래 ①~③항의 요건을
모두 충족하며, R&D와 사업화 자금을 동시에 지원받고자 하는 창업기업
* ① 운영기업에서 분사시점의 사내벤처팀 구성원 비율 30% 이상
(단, 대표가 사내벤처팀원으로 유지되는 경우 구성원 비율 미적용)
② 분사 창업기업 구성원 합계 지분율 60% 이상(접수일 기준)
③ 운영기업(모기업) 지분율 30% 이하(접수일 기준)
□ 신청자격 등의 검토
※ 지원후보 과제로 선정된 이후, 신청 결격사유가 확인된 경우 선정평가의 진행 여부와 관계없이 지원제외로 처리 ※ 협약대상 과제로 선정되어 협약이 진행된 이후라도 지원 제외사항 등 결격사유가 확인된 경우 협약체결 여부와 관계없이 지원제외 및 협약해약 처리 |
○ 전문기관(중소기업기술정부진흥원)은 중소기업 경영현황표를 토대로 서면 검토
및 관련 증빙서류를 제출 요청하여 확인
< 신청자격의 확인방법 및 검증 서류 >
□ 중소기업기술개발(R&D)사업
○ 정부출연금 : 총 사업비의 80% 이내에서 최대 2년, 4억원 이내 지원*
* 연간 2억원 이내
○ 민간부담금 : 총 사업비의 20% 이상을 부담*
* 민간부담금의 50% 이상은 현금으로 부담
□ 사내벤처 사업화 자금
○ 정부출연금 : 총 사업비의 70% 이내에서 최대 1년, 1억원 이내 지원
○ 민간부담금 : 총 사업비의 30% 이상을 부담*
* 현금은 10% 이상, 현물은 20% 이하로 구성
□ 정부출연금 신청금액에 따른 인건비 및 현물계상 기준
○ 정부출연금 신청금액이 1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정부출연금의 30% 이상을 인건비 인정비목으로 현금계상
* 인건비 인정비목 : 신규채용인건비, 외부인건비, 연구활동비 중 전문가활동비, 연구수당,
위탁연구개발비 중 인건비(미지급인건비 제외)
○ 정부출연금 지원금액 4억원(2년x2억원) 당 청년인력 1명을 의무로 신규 채용하고,
1년 이상의 고용 상태를 유지
○ 추가로 청년인력을 신규 채용한 경우, 민간부담금 중 현금부담금을 해당 인건비만큼 현물로 대체가능
□ 기술료 징수기준
○ (납부대상) 최종평가 "완료" 과제의 주관기관으로서, 연구개발 결과물을 소유하고
실시하고자 하는 영리기관(주관기관)
○ (납부방식) 주관기관은 경상기술료(매출 기반 약정기술료) 방식으로 기술료를 전문기관에 납부해야
하며 세부사항은 과제협약 당시 「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기술료 관리규정」 에 따라 징수
☞ 경상기술료(매출 기반 약정기술료) ① 기술개발 종료 후 5년간 연구개발결과물의 실시(사업화)를 통해 발생한 매출액(연구개발결과물 제품 매출액)의 일정비율로 납부 ② 연구개발결과물 제품 매출액은 전문기관의 검증절차를 거치지 않고, 총매출액에 중소기업이 사업계획서 신청,약정한 연구개발결과물 제품 점유 비율에 근거하여 산정 |
20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2차 혁신형 창업과제(R&D+사내벤처)
신청·접수기간 : 2019년 8월 5일 (월) ~ 8월 30일 (금) 까지입니다.
궁금하신점은 아래번호로 연락주시면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
'정책자금 > 정부지원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9년 안전기술 상용화 연계형 R&D사업 시행계획 공고 (0) | 2019.08.05 |
---|---|
2019년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 지원계획 공고 (0) | 2019.08.04 |
2019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'디딤돌 창업과제' (여성참여·소셜벤처과제 포함) (0) | 2019.08.02 |
2019년 3차 데이터 바우처 지원사업 수요기업 모집 공고 (0) | 2019.07.21 |
2019년 재도전 성공패키지 투자연계형 (예비)재창업자 모집 (0) | 2019.07.21 |